📍11665번 : 아스키코드
print(ord(input()))
🌀ord() 함수 : ord( ) 함수의 괄호 안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반환해준다.
🌀chr() 함수 : ord() 함수의 반대기능. 아스키 코드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출력해줌.
📍11720번 숫자의 합 : sum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한 문제!
★ 파이썬 내장함수 정리해보기★ => 따로 글 작성!!후 url첨부
N = int(input())
print(sum(map(int, input())))
📍10809번 : 알파벳 찾기
S = input() #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
import string
abc = list(string.ascii_lowercase)
for i in abc:
if i in S:
print(S.index(i), end=" ")
else:
print(-1, end=" ")
=> 🌀abc.....xyz 하나씩 타이핑하지 않고 string 내장함수를 불러오면 한번에 리스트로 받아줄수 있다!!!!
import string
#소문자 리스트
lower = list(string.ascii_lowercase)
#대문자 리스트
upper = list(string.ascii_uppercase)
#대문자 + 소문자 전체 리스트
alpha = list(string.ascii_letters)
📍2675번 : 문자열 반복
T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T):
R, S = input().split()
#둘다 str type이므로 R은 int type으로 변환해야한다!
for i in range(len(S)):
print(S[i]*int(R), end="")
print()
🌀end="" 를 추가하지 않으면 문자열이 한줄씩 따로따로 출력된다!! end에 빈 문자열을 추가하면 줄이 넘어가지 않고 한줄로 출력된다.원래는 기본적으로 print의 end에 \n이 지정된 상태인데, 강제로 빈 문자열을 지정해주기 때문에 줄바꿈이 사라지게 된다!
🌀R과 S 모두 처음 입력받을 때는 str으로 입력받고 R은 정수이기 때문에 int(R)로 type변환을 해줘야한다.
📍2908번 : 상수
=> 입력받은 숫자를 list형으로 변환해서 새로운 변수에 저장해준다. 그 리스트에 reverse() 함수를 사용하면 역순으로 리스트가 저장된다.
결과값을 출력할 때는 join함수를 이용해서 리스트 형태로 되어있는 걸 한번에 출력한다.
📍1316번 : 그룹 단어 체커
'Coding Test > 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4673번, 1065번 (0) | 2022.09.07 |
---|---|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10818번,2562번, 1546번, 8958번 (0) | 2022.09.06 |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739번, 25304번, 11021번, 11022번, 2439번, 10871번, 10951번, 10952번, 1110번 (0) | 2022.09.05 |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753번, 2480번, 2884번, 2525번 (0) | 2022.09.02 |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588번, 3003번, 고양이, 강아지, 새싹 (0) | 2022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