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Coding Test48
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11665번, 11720번, 10809번, 2675번,1175번,1316번 📍11665번 : 아스키코드 print(ord(input())) 🌀ord() 함수 : ord( ) 함수의 괄호 안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반환해준다. 🌀chr() 함수 : ord() 함수의 반대기능. 아스키 코드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출력해줌. 📍11720번 숫자의 합 : sum 함수를 사용하면 간단한 문제! ★ 파이썬 내장함수 정리해보기★ => 따로 글 작성!!후 url첨부 N = int(input()) print(sum(map(int, input()))) 📍10809번 : 알파벳 찾기 S = input() #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 import string abc = list(string.ascii_lowercase) for i in abc.. 2022. 9. 10.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4673번, 1065번 📍4673번 셀프넘버 이건 문제를 이해 못하겠다......나중에 다시 도전 더보기 numbers = list(range(1,10001)) remove_list = [] #생성자 리스트 for num in numbers: for n in str(num): num += int(n) if num 2022. 9. 7.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10818번,2562번, 1546번, 8958번 📍10818번 배열, 리스트에서 최댓값, 최솟값 구하기 max(배열이름) : 최댓값. //// min(배열이름) : 최솟값 📍배열에 저장하기(2562번 최댓값) numbers = [int(input()) for i in range(9)] => 한줄에 하나씩 정수를 range(9)만큼 입력받아 numbers라는 배열에 저장한다. 📍배열 안에 중복되는 요소 제거 set(배열이름) numbers = [(int(input()) % 42) for i in range(10)] print(len(set(numbers))) => 위에 코드에 42로 나눈 나머지라는 코드만 추가하면 나머지의 배열을 구할수 있다. 중복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집합을 구하는 set함수를 사용했다. 📍1546번 - 평균 https://www.. 2022. 9. 6.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739번, 25304번, 11021번, 11022번, 2439번, 10871번, 10951번, 10952번, 1110번 📍2739번 구구단 문제를 풀면서 1부터 9까지의 반복문을 돌리는 방법을 찾다가 range함수를 알게되었다. 🌀range 함수 : 특정 구간의 숫자의 범위를 만들어주는 함수. 특정 횟수 만큼 반복하는 반복문 만들기에 유용! 1) range(A) => 0부터 A-1까지의 정수 범위를 반환 2) range(A, B) => A부터 B-1까지의 정수 범위를 반환 3) range(A, B, C) => A부터 B-1까지의 정수 범위를 C 숫자만큼의 간격으로 반환 🌀range(1,10) 함수를 사용해서 1부터 9까지 반복문을 돌릴수 있다. 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10): print(N, '*', i, '=', N*i) 📍25304번 영수증 X = int(input()) N = i.. 2022. 9. 5.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753번, 2480번, 2884번, 2525번 📍2753번 윤년 a = int(input()) if ((a % 4 == 0 and a % 100 != 0) or (a % 400 == 0)): print('1') else: print('0') 📍2480번 주사위 세개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a == b == c: print(10000+a*1000) elif a == b or a == c: print(1000+a*100) elif b == c: print(1000+b*100) else : print(max(a,b,c)*100) 🌀숫자 2개만 같을 때의 조건을 따로 설정해야 한다!!🌀 📍2884번 알람시계 H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M >= 45: print(H, M - .. 2022. 9. 2.
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 - 2588번, 3003번, 고양이, 강아지, 새싹 📍2588번 a = int(input()) b = input() print(a*int(b[2])) print(a*int(b[1])) print(a*int(b[0])) print(a*int(b)) a = int(input()) b = input() for i in range(3, 0, -1): print(a * int(b[i-1])) print(a * int(b)) 📍3003번 - 킹, 퀸, 룩, 비숍, 나이트, 폰 🫠🫠🫠🫠🫠 c = [1, 1, 2, 2, 2, 8] coun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i in range(len(c)): c[i] -= count[i] print(' '.join(map(str, c))) ⭐️튜터님의 해설⭐️ chess_pieces .. 2022. 9. 1.